차례
파울로 프레이리를 추모하며
감사의 글
제1장 “억눌린 자들을 위한 페다고지”에서 “희망의 페다고지”로
제2장 연구 배경: 브라질의 정치, 정책, 교육
제3장 관계의 재개념화: 국가, 교육, 사회운동
제4장 민중적 공립학교 만들기: 이론적 토대와 정책 구상
제5장 교육과정 재정립: 인터 프로젝트
제6장 희망의 교육학과 학교 현실
제7장 결론
해제 및 옮긴이 후기
필라르 오카디즈 (저자)
| 미국 작가
필라르 오카디즈는 UCLA에서 라틴아메리카지역연구로 석사학위를, 비교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마쳤다.
이 책의 한 부분인 그녀의 박사학위논문은 미국비교교육학회(CIES)에서 우수 학위 논문으로 선정되어 Gail Kelly Outstanding Dissertation Award를 수상했다.
현재는 TANMS Engineering Research Center/UCLA 의 전임연구원으로 다양성 및 교육분야팀을 이끌고 있다
피아 웡 (저자)
| 미국 작가
피아 웡은 현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새크라멘토캠퍼스(CSUS) 의 교수로 이중언어 및 다문화교육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스탠퍼 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교육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CSUS 의 연구소장으로 활동 하고 있다.
카를로스 토레스 (저자)
| 미국 작가
경카를로스 토레스는 UCLA의 교육정보대학원(GSE&IS)의 석좌 교수이자 파울로 프레이리 연구소(Paulo Freire Institute/UCLA) 소장이다. 세계사회학회(ISO) 회장, 세계비교교육학회(WCCES) 회장, 미국비교교육학회(CIES) 회장 등 주요 학술단체의 대표를 역임했고,미국교육학회의 명예 펠로로 선정되었다. 지금은 UNESCO Chai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UCLA로 세계시민교육 및 글로벌공동재(global commons)를 이론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유성상 (번역가)
| 대한민국 작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국제·비교교육학과 교육사회학을 주요한 학문 탐구 영역으로 삼아 연구와 교육에 임하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을 교육의 다양한 이론적·실천적 논쟁의 핵심이 잘 녹아 있는 주제라고 생각하고, 이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탐색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이 다양한 국가에서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국제의제와 어떻게 연결되고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배움의 조건》《국제교육개발협력》《교육과 국제개발협력》《교사전쟁》《교사교육의 딜레마》《교사가 되려 합니다》 등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국제·비교교육학과 교육사회학을 주요한 학문 탐구 영역으로 삼아 연구와 교육에 임하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을 교육의 다양한 이론적·실천적 논쟁의 핵심이 잘 녹아 있는 주제라고 생각하고,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