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자연과 맞서는 늙은 어부의 위대한 도전
늙은 어부 산티아고는 벌써 84일째 물고기를 잡지 못했습니다. 다른 어부들이 수군거리며

놀렸지만 노인은 화내지 않았습니다. 누가 뭐라고 해도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는 ‘믿음’은 흔들림이 없었지요. 그날 밤 노인의 꿈에 사자가 나타났습니다. 소년 시절 보았던 아프리카 사자였어요.
아침이 되자 노인은 서둘러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습니다. 큰 물고기를 잡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안고서 평소와 달리 먼바다로 갔지요. 그러고는 낚싯바늘에 미끼를 끼워 바다 깊숙이 내렸습니다. 노인은 늘 정확하게 미끼를 드리웠습니다. 물고기가 잡히지 않는 날이 이어져도 흐트러짐이 없었습니다. 지금까지는 그저 운이 없었을 뿐이고, 정확하게 미끼를 던져야만 행운이 왔을 때 잘 맞이할 수 있다고 믿었으니까요.
그 마음이 하늘에 가 닿은 것일까요? 마침내 낚싯줄에 커다란 물고기가 걸려들었습니다. 노인이 타고 있는 배보다도 큰, 엄청난 청새치였어요. 노인은 안간힘을 쓰며 줄을 잡아당겼지만, 청새치는 꿈쩍도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힘으로 배를 끌고 나갔습니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노인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하루, 이틀이 지나고 바다로 나온 지 사흘 째 되던 날, 청새치가 물 밖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노인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작살을 청새치의 몸에 꽂아 넣었지요.
청새치는 몸집이 너무 커서 배에 실을 수조차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배 옆에 묶어야만 했지요. 하지만 그게 화근이었습니다. 피 냄새를 맡은 상어들이 몰려왔거든요. 노인이 아무리 작살로, 몽둥이로 내리쳐도 물러나질 않았습니다. 마지막 살점까지 물어뜯고서야 사라졌지요.
바닷가에 도착했을 때, 노인의 배에는 기다란 뼈대만 남아 있었습니다. 어부들이 둘러서서 신기한 듯 배 옆에 묶인 것을 구경했어요. 청새치와 맞서느라 온 힘을 쏟은 노인은 집으로 돌아가 잠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소년 시절의 사자 꿈을 꾸었습니다.
좌절과 포기, 불행의 시대에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오랫동안 물고기를 잡지 못했지만 노인은 실망하거나 좌절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운이 없었을 뿐이라고 여겼지요. 그리고 행운이 찾아오기를 참고 기다렸습니다. 늘 ‘정확히’ 미끼를 내리면서 말이에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이러한 노인의 태도는 어딘지 모르게 답답해 보입니다. ‘인내’와 ‘기다림’보다는 포기와 타협이 익숙한 세상이니까요. 하지만 만약 노인이 84일이라는 시간을 견뎌 내지 않았다면, 한결 같은 손놀림으로 미끼를 드리우지 않았다면 거대한 청새치를 만나지 못했을 거예요.
노인이 청새치와 맞서는 장면 역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배보다도 큰 물고기와 늙은 어부. 홀로 감당하기에 무모한 도전이었지만 노인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며칠 밤낮을 거대한 물고기와 힘을 겨루면서도 결코 낚싯줄을 놓지 않았어요. 손이 피투성이가 될 정도로 고된 사투였지요. 노인의 단단한 의지 앞에 청새치도 결국 지치고 맙니다. 배 주위를 빙빙 돌더니 물 바깥으로 뛰어오릅니다. 노인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청새치의 숨을 끊었지요. 비록 상어 떼에 살점이 뜯겨 청새치는 뼈대만 남게 되지만 노인의 도전은 우리가 그동안 잊고 있었던 가치들을 떠올리게 합니다. 열정, 의지, 희망……. 그리고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말합니다. ‘다시 일어서 힘껏 걸어보자.’고.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거듭 읽을수록 새로운 감동이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십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지요. 책고래에서 펴낸 《노인과 바다》는 원작의 서사를 함축한 글과 아름다우면서도 개성 넘치는 그림을 함께 엮어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특별한 감동을 선사합니다.
◎한국어린이교육문화연구원 으뜸책 선정
◎2017년 학교도서관사서협의회 추천도서
본문 미리보기


